전입신고는 거주하는 집에 대한 대항력을 행사하기 위해서 필요합니다. 새로운 거주지에 전입을 했을 때 14일 이내로 신고해야 합니다. 주민센터에 방문해서 처리하는 1시간의 시간을 5분으로 단축 해드리겠습니다.
1. 인터넷 전입신고 홈페이지 접속 및 신청하기
- 인터넷 접속 후 네이버에서 전입신고를 검색하고 민원신청하기를 클릭합니다.
- 민원안내 및 신청 내용을 확인 후 신청하기를 클릭합니다.
- 회원 및 비회원 신청하기 중 회원 신청하기를 클릭합니다.(본인인증만 하면 되는 부분이니 회원 신청하기를 선택하시면 됩니다.)
- 전입신고시 유의사항 3가지를 확인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.(신청/결과 확인 / 세대주 확인이 필요한 경우 / 온라인 전입신고가 불가능한 경우)
2. 본인인증 하기
- 간편인증과 공동금융인증서 중 본인인증 방식을 선택합니다. 카톡, 네이버 등으로 간편하게 인증할 수 있으니 간편인증이 편리합니다.
- 본인인증 정보를 입력하고 서비스 이용 동의에 체크 후 인증요청을 누르면 휴대폰으로 인증요청이 발송됩니다.
- 카카오톡에서 인증절차를 진행합니다. 다시 인터넷 전입신고 화면으로 돌아와서 인증완료를 선택합니다.
3. 신청인 및 주소 정보 입력하기
- 이사 전에 살던 곳 주소를 조회합니다. 시도 및 시군구를 선택하고 주소조회를 누릅니다. 전시되는 주소를 확인 후 다음단계를 클릭합니다.
- 신청인의 연락처 정보를 입력 후 전입하는 사유(직장, 가족 등의 사유중 선택)를 선택하고 다음단계를 클릭합니다.
- 세대구성을 선택합니다. 이사온 사람끼리 세대구성 또는 이사온 곳에 기존 세대주가 살고 있는 경우 중 해당사항을 선택합니다.
- 이사온 곳의 주소를 선택합니다. 기본주소를 검색해서 입력하고 다가구 주택여부도 입력합니다.
- 이사가는 사람(세대 구성원)을 선택합니다. 본인과 가족 중 이사가는 사람을 체크한 후 다음단계를 클릭합니다.
4. 기타 선택사항
-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위한 요금감면 신청이 필요하면 동의를 체크합니다.
- 취학자녀가 있는 경우 초등학교 배정정보 신청에 동의를 체크합니다.
- 우편물주소 이전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신청인 정보를 입력하고 세대주/세대원을 선택한 후 동의를 체크합니다.
함께 보면 좋은 글
'생활 정보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k 텔레콤 요금제 변경 (0) | 2022.08.02 |
---|---|
인터넷 확정일자 받는법 (0) | 2022.08.01 |
자녀 기본증명서 인터넷 발급 (0) | 2022.07.30 |
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(0) | 2022.07.28 |
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(0) | 2022.07.28 |
댓글